728x90
반응형

 

컴퓨터가 일정 시간 후 자동으로 꺼지게 하고 싶을 때, 윈도우의 기본 명령어만으로 간단하게 예약 종료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명령어로 자동 종료 설정하기

먼저 Win + R 키를 누르고 cmd를 입력해 명령 프롬프트를 엽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shutdown -s -t 3600

(3600초 = 1시간, 1800초 = 30분, 7200초 = 2시간)

명령어 입력 예시 이미지

2️⃣ 예약 종료 취소하기

이미 설정한 예약을 취소하고 싶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shutdown -a

3️⃣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만들기

매번 명령어를 입력하기 번거롭다면, 종료 예약 바로가기를 만들어두세요.

      1.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 → 새로 만들기 → 바로 가기
      2. 위치에 shutdown -s -t 3600 입력 후 다음
      3. 이름 지정: 예) 1시간 후 종료
      4. 아이콘 변경은 '속성'에서 가능
HTML 스타일 이미지

📌 요약 정리

    • 자동 종료: shutdown -s -t [초]
    • 취소: shutdown -a
    • 바로가기 생성으로 반복 작업 간편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바탕화면은 컴퓨터를 켤 때 가장 먼저 보이는 공간이죠.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아이콘이 여기저기 흩어져서 정신없이 보인다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바탕화면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꿀팁 6가지를 소개합니다. 생산성도 높아지고 보기에도 좋은 환경으로 바꿔보세요!


1. 사용하지 않는 아이콘 과감히 정리

필요 없는 단축 아이콘, 설치 이후 한 번도 안 쓴 프로그램 아이콘은 삭제 또는 폴더로 정리해 주세요.

팁: 삭제 전 휴지통에 바로 보내지 말고, 바탕화면 외 폴더에 백업해두면 심리적 부담이 덜해요.

 [어지럽게 흩어진 바탕화면 아이콘 모습 이미지]


2. 카테고리별 폴더 정리

문서, 게임, 프로그램 등 카테고리별 폴더를 만들어 아이콘을 구분해보세요. 훨씬 체계적으로 보여요.

 [폴더 안에 프로그램 아이콘을 정리한 화면 이미지]


3. 자동 정렬 & 정렬 기준 활용하기

마우스 오른쪽 클릭 → 정렬 기준 > 이름 / 항목 유형 / 날짜를 활용하면 깔끔한 배열이 됩니다.
자동 정렬을 켜두면 아이콘이 겹치거나 비뚤어지는 걸 방지할 수 있어요.

 [정렬 기준 선택 화면 이미지]


4. 바탕화면 아이콘 숨기기 기능 활용

작업에 집중하고 싶을 때는 바탕화면 아이콘을 잠깐 숨기는 기능을 써보세요.

  • 바탕화면 → 마우스 우클릭 → 보기 → 바탕화면 아이콘 표시 해제

 [바탕화면 아이콘 숨김 설정 화면 이미지]


5. Rainmeter나 Fences 프로그램 활용

조금 더 고급스럽고 시각적인 정리를 원한다면 RainmeterFences 같은 바탕화면 관리 프로그램도 추천해요.

  • Rainmeter: 위젯 스타일 UI 구성
  • Fences: 바탕화면 아이콘을 구역별로 묶어 정리

 [Fences 프로그램으로 구역 정리된 바탕화면 이미지]


6. 배경화면도 정리에 한몫!

배경화면을 너무 화려하게 쓰면 아이콘이 묻히거나 어수선하게 보일 수 있어요. 단색 또는 패턴이 심플한 배경을 추천합니다.

 [심플한 배경화면 위에 정돈된 아이콘 이미지]


마무리

하루에 몇 번씩 보게 되는 바탕화면.
이왕이면 보기 좋고, 찾기 쉬운 환경으로 만들어두면 업무 효율도 쑥쑥 올라갑니다.
오늘 당장 바탕화면 정리에 도전해보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컴퓨터 작업 속도를 올려주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바로 단축키 활용입니다. 마우스를 일일이 옮기지 않고도 원하는 작업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어 업무 효율을 높이는 데 매우 효과적이죠.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에서 자주 쓰는 단축키를 카테고리별로 정리해봤습니다.


1. 기본 단축키

  단축키                                                                                 기능

 

Ctrl + C 복사
Ctrl + V 붙여넣기
Ctrl + X 잘라내기
Ctrl + Z 실행 취소
Ctrl + A 전체 선택
Ctrl + S 저장
Ctrl + P 인쇄

 [기본 단축키 사용 예시 – 복사/붙여넣기 화면 이미지]


2. 윈도우 키 활용 단축키

  단축키                                                           기능

 

Win + D 바탕화면 보기/복귀
Win + E 파일 탐색기 열기
Win + L 화면 잠금
Win + I 설정 창 열기
Win + R 실행 창 열기
Win + Shift + S 스크린샷 도구 실행
Win + Tab 작업 보기 (가상 데스크톱 포함)

 [Win + E로 파일 탐색기 실행한 화면 이미지]


3. 창 조작 관련 단축키

  단축키                                                                   기능

 

Alt + Tab 창 전환
Alt + F4 현재 창 종료
Win + 방향키 창 정렬 (좌우/최대화/최소화)
Ctrl + Shift + Esc 작업 관리자 바로 열기

 [Alt + Tab 화면 전환 예시 이미지]


4. 텍스트 작업에 유용한 단축키

단축키기능
Ctrl + 방향키 단어 단위 이동
Ctrl + Shift + 방향키 단어 단위 선택
Home / End 줄 맨 앞으로 / 맨 끝으로 이동
Shift + 방향키 글자 단위 선택

 [문서 편집 중 텍스트 선택 예시 이미지]


5. 기타 유용한 단축키

단축키기능
F2 파일/폴더 이름 바꾸기
F5 새로 고침
Ctrl + N 새 창 열기
Ctrl + W 현재 창 닫기

 [F2로 파일 이름 변경 중인 화면 이미지]


마무리

위 단축키들은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도구입니다. 익숙해질수록 손이 마우스로 가는 횟수가 줄고, 일 처리 속도도 눈에 띄게 빨라집니다. 평소 자주 쓰는 기능부터 하나씩 익혀보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하드디스크를 포맷하면 모든 파일이 지워졌다고 생각하시나요?
사실은 **"표면적으로만 삭제된 것"**일 수 있습니다. 중요한 자료를 안전하게 지우고 싶다면 단순한 포맷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오늘은 포맷 후에도 복구되는 파일들, 그리고 완전히 삭제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포맷했는데도 복구된다고?

왜 포맷해도 파일이 복구될까?

하드디스크나 SSD는 포맷할 때 파일 정보만 지우고 실제 데이터는 그대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문에 아래와 같은 복구 프로그램으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죠:

  • Recuva
  • EaseUS Data Recovery
  • R-Studio

 [복구 프로그램에서 삭제된 파일 복구 리스트 화면]


📂 삭제해도 지워지지 않는 흔적들

윈도우에서는 파일을 삭제해도 다음과 같은 흔적이 남을 수 있어요.

  구분                                                                  흔적 위치

 

삭제한 파일명 $Recycle.Bin
사용 흔적 Prefetch, Recent, Temp
브라우저 기록 AppData\Local 내 기록들

 [윈도우 임시 폴더 위치를 보여주는 화면]


🔒 진짜로 완전 삭제하는 방법

1. 파일 덮어쓰기 (Zero Fill)

전문 삭제 툴을 사용해 디스크 공간을 무작위 데이터로 덮어쓰기 하면 복구가 매우 어렵습니다.

  • Eraser: 선택한 파일/폴더를 무작위로 덮어쓰기
  • CCleaner Drive Wiper: 디스크 전체를 덮어쓰기

🖼️ [Eraser에서 파일 삭제 옵션 설정 화면]


2. 디스크 초기화 후 전체 덮어쓰기

디스크 자체를 Diskpart 명령어로 초기화 후 전체를 지우는 방식입니다.

diskpart
list disk
select disk 1
clean all
exit

clean all은 모든 섹터를 0으로 덮어씁니다.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가장 안전합니다.

 [diskpart 명령어 실행 중 화면]


3. SSD는 ‘TRIM’이 관건

SSD는 데이터 삭제 시 TRIM 명령을 통해 플래시 영역을 비우지만, 일부 저가 SSD나 TRIM 미지원 환경에선 복구가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TRIM 상태 확인 방법

cmd
복사편집
fsutil behavior query DisableDeleteNotify
  • DisableDeleteNotify = 0 → TRIM 활성화됨
  • DisableDeleteNotify = 1 → TRIM 비활성화됨


🧼 팁! 흔적까지 지우고 싶다면

  • 브라우저 캐시 지우기
  • 최근 문서 기록 삭제
  • 레지스트리 청소 (CCleaner 활용)


🧨 마무리 – 민감한 파일은 반드시 '완전 삭제'를!

단순히 휴지통을 비우거나 포맷하는 것만으로는 복구 위험이 남아있습니다.
중요 자료를 다룬 후에는 전문 툴을 통한 덮어쓰기 삭제까지 꼭 진행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컴퓨터를 쓰다 보면 한 번쯤 듣게 되는 말, "BIOS 업데이트".
하지만 "이거 꼭 해야 돼?"라는 질문에 정확히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죠.
오늘은 BIOS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와 주의사항, 그리고 언제 하지 않아도 되는지까지 알아볼게요.


✅ 바이오스(BIOS)란?

BIOS는 컴퓨터를 켰을 때 제일 먼저 실행되는 프로그램이에요.
CPU, 메모리, SSD 같은 하드웨어를 제대로 인식하고 운영체제(윈도우)를 부팅시켜주는 역할을 하죠.

쉽게 말하면, 컴퓨터의 ‘기초 뼈대’를 세워주는 소프트웨어!


🧐 꼭 업데이트해야 할까?

정답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입니다.

🔧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1. 신규 CPU나 RAM을 장착한 경우 → BIOS에서 해당 부품을 인식 못 하면 부팅 자체가 안 돼요.
  2. 부팅 오류 또는 하드웨어 인식 문제 → 메인보드 제조사에서 버그 픽스용으로 BIOS를 업데이트할 수 있어요.
  3. 성능 향상 또는 보안 패치 → 간혹 업데이트를 통해 시스템 안정성과 속도가 좋아질 수도 있어요.

[BIOS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 오류 메시지 예시]


❌ 업데이트가 필요 없는 경우

  • 컴퓨터가 잘 작동하고 있을 때
  • 최신 부품을 쓰고 있지 않을 때
  •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할 때

BIOS 업데이트는 실패할 경우 부팅 불가라는 최악의 상황도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꼭 필요하지 않다면 건드리지 않는 게 낫다"**는 게 기본 원칙이에요.


⚠️ 업데이트 시 주의할 점

  1. 제조사 공식 사이트에서만 다운로드
  2. 정확한 모델명을 확인하고 설치
  3. 업데이트 중 절대 전원을 끄면 안 됨!
  4. UPS 사용 추천 (정전 대비)

 [BIOS 업데이트 전 모델 확인 화면]

 [제조사 사이트에서 BIOS 파일 다운로드 화면]

 [업데이트 중 화면 – 전원 끄지 말라는 경고창]


🔚 결론: 이럴 때만 하세요!

  • 새 CPU, 메모리 장착 시
  • 하드웨어 호환 문제 있을 때
  • 제조사에서 필수라고 안내했을 때

그 외에는 웬만하면 하지 않아도 됩니다.
잘못하면 벽돌이 됩니다. 진짜로요.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윈도우 11을 설치했거나 새 PC를 장만했다면?
가장 먼저 해줘야 할 필수 설정들이 있어요. 성능도 올리고, 보안도 강화하고, 쾌적한 사용 환경을 만드는 윈도우 11 꿀세팅 10가지 지금 바로 시작합니다.


1. 시작 메뉴 커스터마이징

불필요한 앱이 잔뜩 보이는 기본 시작 메뉴.
자주 쓰는 앱만 깔끔하게 정리해줘야 사용이 편해요.

 [시작 메뉴에서 앱 고정/해제하는 화면]


2. 작업 표시줄 설정 변경

작업 표시줄이 가운데 정렬되어 어색하신가요?
작업 표시줄 위치, 아이콘 크기, 사용 앱 고정을 설정해 보세요.

 [작업 표시줄 정렬 및 아이콘 고정 화면]


3. 개인 정보 보호 설정

윈도우는 기본적으로 많은 정보를 수집해요.
개인 정보 수집 최소화로 내 정보는 내가 지켜야죠.

 [개인 정보 설정 화면 – 위치, 음성, 활동 기록 등]


4. 윈도우 업데이트 설정

자동 업데이트는 좋지만, 예고 없이 재부팅되면 짜증나죠.
업데이트 시간 예약으로 방해받지 않게 설정하세요.

 [업데이트 시간 설정 화면]


5. 전원 및 절전 모드 설정

기본 설정은 배터리 낭비가 심할 수 있어요.
디스플레이 꺼짐, 절전 진입 시간을 조절하면 전력 절약에 좋아요.

 [전원 및 배터리 설정 화면]


6. 기본 앱 변경

사진 열 때마다 엣지 브라우저로 뜨면 불편하죠.
기본 브라우저, 이미지 뷰어, 동영상 플레이어 설정은 필수입니다.

 [기본 앱 변경 화면]


7. 빠른 실행 단축키 설정

작업 속도를 2배로 올려주는 꿀팁!
작업표시줄 고정 + Win + 숫자 단축키 설정하세요.

 [작업표시줄 앱 고정 및 단축키 사용 예시 화면]


8. 알림 설정 정리

수많은 알림에 방해받고 싶지 않다면?
불필요한 알림 OFF 하세요. 집중력 향상에 도움됩니다.

 [알림 설정 화면]


9. 드라이버 업데이트 확인

하드웨어 성능을 100% 활용하려면
그래픽카드, 사운드, 네트워크 드라이버 최신 유지는 필수입니다.

[장치 관리자 드라이버 업데이트 화면]


10. 스토리지 센스 설정

C드라이브 용량 부족, 더는 걱정 마세요.
자동으로 임시 파일, 휴지통 비우는 기능을 켜두면 편리해요.

 [스토리지 센스 설정 화면]


📌 정리하자면!
윈도우 11을 설치한 뒤엔 꼭 한번 전체 설정을 점검해보세요.
이 10가지만 해놔도 훨씬 빠르고, 깔끔하고, 안전한 환경이 완성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