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게임이 끊기거나 렉이 걸릴 때

미래지식 2025. 6. 4. 10:00
728x90
반응형

게임이 끊기거나 렉이 걸릴 때는 원인이 다양할 수 있는데, 아래 항목별로 하나씩 점검해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1. 네트워크 상태 확인
    • 핑(Ping) 확인
      게임 내 네트워크 설정이나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cmd)에서 ping [게임서버 주소] 또는 ping 8.8.8.8 등을 실행해 보세요.
      • 응답 시간이 150ms 이상으로 높게 나온다면 지연(latency)이 큰 상황일 수 있습니다.
      • 패킷 손실(packet loss)이 1~2% 이상이라면 불안정한 연결을 의미합니다.
    • 유선 연결으로 전환
      무선(Wi-Fi)보다 이더넷 케이블(유선)이 안정적입니다. 가능하다면 공유기와 PC를 랜선으로 연결해 보세요.
    • 다른 기기 사용 여부 확인
      같은 공유기를 쓰는 스마트폰·노트북 등에서 동영상 스트리밍이나 P2P 다운로드가 진행 중이면 대역폭(bandwidth)이 부족해져 게임이 끊길 수 있습니다.
      → 게임할 때는 되도록 다른 기기의 대용량 다운로드/스트리밍은 잠시 중지하세요.
    • 공유기 재부팅 및 설정 최적화
      • 공유기를 1분 정도 껐다가 다시 켜서 캐시를 비우고,
      • QoS(Quality of Service) 기능이 있다면, 게임 트래픽에 우선 순위를 높여 설정해 보세요.
  2. PC 사양·그래픽 설정 점검
    • CPU·메모리·그래픽 카드 사용량 확인
      작업 관리자(CTRL + SHIFT + ESC)에서 게임 실행 중 CPU, 메모리, 디스크, GPU 사용량을 살펴보세요.
      • CPU나 메모리가 90% 이상 풀로드 상태라면, 백그라운드 앱(백신 검사, 윈도우 업데이트, 크롬 탭 등)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 그래픽 옵션(해상도/그래픽 품질) 조정
      해상도나 그래픽 품질을 너무 높게 잡으면 GPU에 과부하가 걸려 프레임 저하나 끊김이 발생합니다.
      → 우선 ‘중간(Medium)’ 또는 ‘낮음(Low)’ 정도로 설정한 뒤, 문제 없으면 서서히 높여가는 식으로 테스트하세요.
    • FHD, QHD, 4K 해상도 vs FPS(프레임) 우선 설정
      모니터 해상도를 유지하면서 FPS가 낮다면, 게임 옵션 중 ‘안티앨리어싱(Anti-Aliasing)’이나 ‘그림자(Shadows)’ 등 고사양 옵션을 꺼 보세요.
    • VSync(수직동기화) 기능
      VSync를 켜면 화면 찢어짐(Tearing)은 줄어들지만, 프레임 제한이 생겨 렉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 끄거나, 오히려 RTX/FreeSync 기능이 있는 모니터라면 해당 기능을 활용해 보세요.
  3. 드라이버·윈도우 업데이트
    • 그래픽 드라이버 최신 버전 설치
      NVIDIA는 GeForce Experience, AMD는 Radeon Software를 통해 최신 드라이버를 내려받아 설치하세요.
      → 특히 신규 게임 출시 직후에는 최적화 드라이버가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 사운드·랜카드 드라이버 점검
      게임 중 가끔 사운드 충돌이나 네트워크 드라이버 이슈로 끊김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 메인보드 제조사 홈페이지 혹은 랜카드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최신 드라이버를 설치해 보세요.
    • 윈도우 업데이트
      윈도우 업데이트가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으로 진행되면, 설치 중에 자원을 많이 사용하게 되어 게임이 끊길 수 있습니다.
      → 게임하기 전, 윈도우 업데이트가 완료된 상태인지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활동 시간(Active Hours)’을 설정하여 업데이트 시간을 피하세요.
  4.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서비스 관리
    • 자동 실행 프로그램 최소화
      • 작업 관리자 → [시작 프로그램] 탭에서 게임과 무관하게 자동 실행되는 프로그램(백신, 클라우드 동기화, 메신저 등)을 꺼두면 자원을 더 확보할 수 있습니다.
      • 특히 온라인 게임 플레이 중에는 ‘실시간 감시’ 기능이 강한 백신(예: 실시간 검사 모드)을 일시 중지하거나 게임 모드로 전환하세요.
    • 과도한 브라우저 탭 닫기
      유튜브나 트위치 같은 고화질 스트리밍을 켜둔 상태에서 게임을 실행하면 CPU·메모리 자원을 많이 잡아먹습니다.
      → 스트리밍은 게임이 끝난 뒤에 재생하거나 해상도를 낮추세요.
    • P2P 프로그램(토렌트 등) 종료
      백그라운드에서 토렌트나 공유 프로그램이 돌고 있다면, 네트워크 대역폭을 과도하게 차지하여 게임 끊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게임 서버·접속 문제 확인
    • 공식 홈페이지·포럼 공지 확인
      간혹 게임 서버 자체가 불안정하거나 점검 중일 때 플레이가 힘들 정도로 끊길 수 있습니다.
      → 게임 공식 사이트, 카카오톡 채널, 게시판 등을 확인하여 서버 상태나 점검 안내가 있는지 먼저 확인하세요.
    • 지역별 게임 서버 선택
      일부 게임은 아시아, 일본, 북미 등 서버를 분리해서 운영합니다.
      → 내 쪽 네트워크에서 지연이 적은(핑이 낮은) 서버로 직접 선택하여 접속해 보세요.
  6. DNS·MTU 설정 최적화
    • DNS 서버 변경
      기본 ISP(인터넷 제공 사업자)의 DNS 서버 대신 공용 DNS(예: 구글 8.8.8.8, 8.8.4.4 / Cloudflare 1.1.1.1)를 사용하면 DNS 응답 속도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1.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 → 속성 → IPv4 → DNS를 수동으로 입력
      2. 게임을 재실행하여 변화 확인
    • MTU(Maximum Transmission Unit) 값 조정
      MTU가 너무 크면 패킷 분할이 자주 일어나고, 너무 작으면 패킷 오버헤드가 발생해 속도 저하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1,500이 표준이지만, 공유기 모델에 따라 1,492~1,496 정도로 낮추면 안정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 cmd(관리자 권한)에서 netsh interface ipv4 set subinterface "이더넷" mtu=1492 store=persistent 명령어로 MTU를 조절한 뒤, 재부팅 후 테스트하세요.
  7. 게임 클라이언트·설정 초기화
    • 게임 캐시(delete cache) 삭제
      일부 온라인 게임은 임시 파일이나 캐시가 누적될수록 끊김이나 렉이 심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 게임 설치 폴더 내에 ‘Cache’, ‘Temp’ 폴더 등을 찾아 삭제(또는 재설치)해 보세요.
    • 클라이언트 재설치
      게임 파일이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면, 먼저 ‘파일 무결성 검사(verify integrity)’ 기능을 활용해 보고,
      → 문제가 계속되면 완전히 삭제 후 최신 버전으로 다시 설치합니다.
  8. 공유기·인터넷 회선 점검
    • 공유기 펌웨어 업데이트
      제조사 웹사이트에서 최신 펌웨어(펌업)가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면 반드시 업데이트하세요.
      → 낡은 펌웨어일수록 네트워크 안정성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 인터넷 회선 속도 측정
      Speedtest.net 같은 사이트에서 실제 다운로드·업로드 속도를 확인해 보면, 계약한 속도 대비 크게 떨어지는지 알 수 있습니다.
      → 속도 저하가 심하면 ISP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회선 점검을 요청하세요.
    • 케이블·포트 교체
      오래되거나 불량인 랜 케이블, 포트 접촉 불량도 간헐적인 끊김을 일으킵니다.
      → CAT5e 이상 급의 랜 케이블로 교체하고, 공유기·PC 랜 포트에 꼽아보며 변화 여부를 확인하세요.
  9. 윈도우 전원 관리 옵션 수정
    • 전원 옵션(Power Plan)을 ‘고성능’으로 설정
      제어판 → 전원 옵션 → ‘고성능(High performance)’을 선택
      → CPU 클럭이 자동으로 낮아지지 않도록 설정해, 게임 플레이 중에 성능 저하가 최소화됩니다.
    • USB 전원 관리 해제
      • 제어판 → 장치 관리자 → USB 루트 허브 속성 → 전원 관리 →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컴퓨터가 이 장치를 끌 수 있음’ 체크 해제
        → 무선 키보드/마우스, 랜 어댑터가 절전 모드로 들어가면서 순간적으로 끊기는 현상을 방지합니다.
  10. 하드웨어 점검
728x90
  • SSD/HDD 상태 확인
    HDD 사용 중이라면 디스크 읽기·쓰기 속도가 떨어지면서 게임 로딩이나 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CrystalDiskInfo 같은 툴을 사용해 디스크 상태(건강도, 재할당 섹터 수 등)를 점검하고,
    → SSD가 있다면 OS나 게임을 SSD에 설치해 로딩 시간을 단축하세요.
  • 발열(온도) 관리
    CPU나 GPU 온도가 80℃ 이상으로 상승하면 자동으로 클럭이 낮아지는 ‘쓰로틀링(Throttling)’이 발생합니다.
    → HWMonitor 같은 툴로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 내부에 먼지가 쌓였으면 청소·쿨러 재도포 등을 통해 발열을 줄여주세요.
  • 램(RAM) 검사
    메모리 오류나 불량 램 모듈이 있으면 게임 중 랜덤한 끊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Windows 메모리 진단 도구(Windows Memory Diagnostic) 혹은 Memtest86+로 검사를 진행해 보세요.

요약 및 권장 조치 순서

  1. 네트워크 체크 → 유선 전환 → 공유기 재부팅 → 게임 서버 상태 확인
  2. PC 성능 관리 → 백그라운드 앱 최소화 → 그래픽 설정 낮추기
  3. 드라이버·윈도우 업데이트 → 그래픽·사운드·랜카드 드라이버 최신화 → 윈도우 업데이트 완료
  4. 하드웨어 상태 점검 → 디스크 상태·발열 확인 → 램 오류 검사

위 과정을 하나씩 점검해 보시면, 대부분의 게임 끊김(렉, 프레임 드랍, 네트워크 지연) 문제가 해소됩니다. 그래도 문제가 계속된다면,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 각 단계별로 발생하는 값(핑, CPU/GPU 온도, 디스크 상태 등)을 기록한 뒤, 상세 문의를 다시 해주시길 권장드립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