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 공유기와 허브 차이점 완벽 정리! (2025년 기준)

미래지식 2025. 5. 27. 15:41
728x90
반응형

인터넷을 설치하다 보면 흔히 듣는 장비 이름, '공유기'와 '허브'.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기능부터 성능까지 전혀 다른 장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공유기와 허브의 차이를 간단한 예시와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1. 공유기(Router)란?

공유기는 하나의 인터넷 회선을 여러 기기에 나누어주는 장비입니다.
IP 주소를 기기마다 다르게 할당하고, 외부 인터넷과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브레인 역할을 하죠.

  • 기능: NAT(네트워크 주소 변환), DHCP 서버, 방화벽 등
  • 주요 사용처: 가정, 사무실 등 인터넷을 나누는 모든 곳
  • 스마트폰, 노트북, 스마트TV 모두 연결 가능

 와이파이 안테나 달린 일반적인 가정용 공유기


2. 허브(Hub)란?

허브는 단순한 데이터 중계기입니다.
하나의 포트로 받은 데이터를 모든 포트에 똑같이 전달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누가 받는지는 상관없이 전부 다 보내버리는 구조입니다.

  • 기능: 단순 데이터 분배
  • 속도: 충돌(Collision)이 잦아 느림
  • 보안: 없음 (모든 기기에게 동일 정보 전달)

 포트 여러 개가 있는 단순한 박스 형태

728x90

3. 공유기 vs 허브 비교표

항목 공유기(Router) 허브(Hub)

기능 인터넷 공유, IP 관리 단순 데이터 중계
속도 빠름, 충돌 없음 느림, 충돌 발생 가능
보안 기본 방화벽 제공 없음
스마트기기 연결 가능 (Wi-Fi 포함) 불가능 (Wi-Fi 없음)
사용 환경 가정, 사무실, 학교 등 기업 내부 네트워크 제한적 사용

4. 결론: 어떤 걸 써야 할까?

일반 사용자는 무조건 공유기!

허브는 과거에는 많이 사용됐지만,
지금은 대부분 스위칭 허브(Switch) 또는 공유기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구성을 깔끔하게 하려면 공유기가 기본입니다.
허브는 전문적인 내부 네트워크 환경에서만 사용해요.


✅ 요약

  • 공유기: 인터넷을 나눠주는 똑똑한 장비
  • 허브: 단순히 신호를 복사해주는 장비
  • 요즘은 공유기 + 스위치 허브 조합이 일반적

📌 네트워크를 처음 설정하신다면,
**"공유기 하나면 충분!"**을 기억하세요.

728x90
반응형